전체 글 (267) 썸네일형 리스트형 인식론 논리학 A는 참이다 라는 주장 형이상항 A는 참이다라는 주장이 참이면 "A는 존재"해야한다. 인식론 : "안다"라는 의미 - 할 줄 안다 (Ability) : 반박 : 본능, 유전 등으로 모르면서도 할 수 있다. - 잘 안다 ( 본적있다 ) : 반박 : - Know That ☆☆ A가 P라는 명제 D를 안다. S는 명제 D를 안다. 믿음은 S의 상태이고, 주관적 조건이다. P가 참이라는것은 객관적 조건이다. >> 내가 명제 D를 안다고 하면 , D가 거짓이라면 내가 아는것이 거짓이 된다. ========================================================================= 진리 ㅁ참이면 참이다. 거짓이면 거짓이다. : 반성적 접근 :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 JWT 란 로그인의 절차를 간단히 기록해보자면 1. Client 에서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Server로 보낸다. 2. Server에서는 지정된 암호화 방식으로 암호화하여 DB의 비밀번호와 비교한다. 3. 유저가 맞다면 AccessToken을 부여해서 Client에게 제공한다. 여기서 AccessToken을 생성하는 방법중 하나가 JWT( Json Web Token) 이다. JWT는 유저정보를 담은 암호화된 JSON데이터를 Client와 Server가 주고받는것입니다. 쉽게 풀어쓰자면 유저정보를 JSON 형식으로 담아서 암호화하고 그것들을 주고받는것입니다. JWT에는 해당 유저정보 뿐아니라, 유저가 가지고 있는 권한(permission)도 포함할 수 있다.이를 통해 인가도 가능하다. 다음은 인가 절차이다. acces.. 인증 / 인가의 차이 인증 : 내가 누구인지 가입정보를 통해 알수 있는것. (로그인) 인가 : 인증된 사용자에게 또는 사용자에게 허가된 기능권한 로그인 에 대하여. 우리가 작성하는 password 는 ***로 표현되기 마련이다. 사용자들이 시각적으로 접할때에는 안전하다는 느낌을 받을수 있다. 하지만, form 태그로 작성하고 ajax 로 통신하는 와중에 SSL프로토콜 위에 있는 암호호된 HTTPS를 사용하지 않거나, 비밀번호에 대해 암호화를 진행하지 않는다면, 우리는 스니핑 과 같은 보안 위협을 받게된다. > 스니핑 : 네트워크상의 데이터를 도청하는 행위 > HTTPS와 SSL를 같은 의미로 이해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이것은 맞기도 틀리기도 하다. 그것은 마치 인터넷과 웹을 같은 의미로 이해하는 것과 같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웹이 인터넷 위에서 돌아가는 서비스 중의 하나인 것처럼 HTTPS도 SSL 프로토콜 위에서 돌아가는 프로토콜이다. 따라서 회원가입의 경우 C.. TDD라이브러리 세가지 JEST - www.daleseo.com/jest-basic/ Jest는 페이스북에서 만들어서 React와 더불어 많은 자바스크립트 개발자들로 부터 좋은 반응을 얻고 있는 테스팅 라이브러리입니다. 출시 초기에는 프론트앤드에서 주로 쓰였지만 최근에는 백앤드에서도 기존의 자바스크립트 테스팅 라이브러리를 대체하고 있습니다. Jest로 기본적인 테스트 작성하기 Engineering Blog by Dale Seo www.daleseo.com EnZyme - 컴포넌트 테스트용 라이브러리 medium.com/@sangboaklee/react-%ED%85%8C%EC%8A%A4%ED%8C%85-%EC%BD%94%EB%93%9C-%EC%9E%91%EC%84%B1%ED%95%98%EA%B8%B0-1c3719cee5af 테스트 방법 ( jest + Enzyme) describe ('테스트이름' , {} =>{ let wrapper; //테스트가 수행될떄마다 렌더링을 해주는것이 좋은 테스트이기때문에 BeforeEach()를 만듬 //컴포넌트를 불러온다. (mount함수와 shallow함수를 씀) beforeEach( ()=>{ wrapper = shallow ( ) }) //테스트1 if(' TextInput버튼 있어?? ' () => { expect(wrapper.find ('TextInput')). toHaveLength(1); }) //테스트2 if(' Button 버튼 있어? ' () =>{ expect(wrapper.find( 'Button')).toHaveLength(1); }) }) describe ('버튼의 활성화' , {} =>{ props = {.. 리액트 네이티브 란? 해외에서 사용되는 하이브리드 플랫폼 너무 잦은 업데이트로 유저들이 힘들어함 / 국내에서는 하이브리드 앱자체가 잘 사용안되는 경향이있다. 기본적으로 리액트기반으로 Native 앱을 만들기 위한 개발된 플랫폼 (네이티브 앱은 우리가 보통 앱스토어나 구글 플레이스토어에서 다운받아 사용하는 앱을 말함) 리액트와 차이점 - view가다름 ( 웹컴포넌트가 아닌 별도의 컴포넌트 사용 ) Expo - 순수 JS 로만 개발 - Native app 개발 하기 쉬움 - 개발환경 셋업이 쉬움 - xcode나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를 설치하지 않아도, 사용가능 >문제점 : Expo Launcher 를 통해 우리가 구성한 앱을 실행함. : TDD동안 EndToEnd Test하는 Detox 라이브러리가 매치가 안되는 부분이있다. RN.. TDD (Test Driven Development) 테스트 주도 개발론. 테스트 를 자주 하는 개발인가? 아니다. 테스트가 주가되어 개발하는것이고, 테스트가 되지 않은 코드는 작성하지 않는것이 원칙. 왜하는가 ? 요구사항 분석단계 / 코드 개발단계에서 오류를 발견 / 수정한다면 비용을 확연이 줄일 수 있다. 순서는 다음과같다. 1. RDD - ReadMe Driven Development 2. Make it fail >> 꼭실패하게 만든다. 3. Make it green 4. 리팩토링 이전 1 ··· 16 17 18 19 20 21 22 ··· 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