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267) 썸네일형 리스트형 CS스터디 - 3월1주차 [개발상식]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이 무엇인가?> ORM이 무엇인가 - 개념 세상의 개념(프로그래밍에 필요한 데이터)를 추상화시켜서 상태,행위(변수,메소드)를 가진 객체(클래스) 를 만든다. - 장점 1) 코드 재사용: 남이 만든 클래스를 가져와서 이용할 수 있고 상속을 통해 확장해서 사용할 수 있음. 2) 유지보수 : 절차 지향 프로그래밍에서는 코드를 수정해야할 때 일일이 찾아 수정해야하는 반면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에서는 수정해야 할 부분이 클래스 내부에 멤버 변수혹은 메서드로 있기 때문에 해당 부분만 수정하면 됨. 3) 클래스단위로 모듈화 : 대형 프로젝트처럼 여러명, 여러회사에서 개발이 필요할 시 업무 분담하기 쉽다. - 단점 1) 객체가 많으면 용량이 커질 수 있음 2) 설계시 많은 시간과 노력이 .. dictionary 키값 있는지 조회할 때 ( KeyError) if "찾는값" in dict1: 파이썬 이차원배열 입력받기 숫자들끼리 붙어서 주어지는경우 print(arr) for _ in range(): arr = list(map(int, input())) ex : 000 111 010 >>>>>>>>>> [ [0,0,0] , [1,1,1] , [0,1,0] ] Git Clone 하는데 UserPassword 문제로 진행이 안된다!! 저는 올바른 비밀번호로 넣었는데도 계속 안되서 AccessToken 을 만들어서 UserPassword 에다가 넣어주었씁니다. 방법은 간단합니다. Profile > Setting > AccessToken > 토큰이름 넣기 > Create Personal Access Token > 화면에 보이는 토큰 적어놓기 ( 한차례만 보여주고 이후로는 보여주지 않습니다.. 잘적어놓으셔야해요 새로고침이나 잘못해서 끄셨다면 다시 발급받으시길!) 토큰을 UserPassword 에 적어주기 WfSofoiVfVZ6cN1zgp7h 도메인 주도 설계 ( Domain Driven Design ) 폭포수 모델링에서는 도메인을 기획하고자하는 기획자, 도메인에 훤한 분석가, 그걸 개발하려는 개발자 모두 각각의 위치에서 각자의 역할에 충실했다. 하지만, 이들은 서로만의 영역에서 사용되는 언어들을 주로 사용했고, 이들은 공통된 언어를 사용하지 않았다. 따라서 공통된 언어가 없으니 공통된 공유문서 등을 작성하기도 어려웠고, 이들이 고심하고 개선해서 만들어나가는 설계도나 개발 작품들이 고스란히 담기기 어려웠다. 이제는 모델링에 관심을 갖는 developer , 개발에 참여하는 Modler 들이 함께 존재하며 서로 공통된 언어를 사용하고, 공통된 용어를 사용하며 심지어는 코드 그 자체를 같은 프로젝트에 투입되었지만, 서로 다른 위치에 존재하는 직업군끼리 이해할 수 있게 하였다. 그렇게 지식의 공유를 활성화 시.. Controller 테스트 코드짜기 @RunWith(SpringRunner.class) //get 을 누구한테 요청할것인가. Spring Runner에게 요청할 것이다. @WebMvcTest(RestaurantController.class) // 컨트롤러 테스트한다는 것 class RestaurantControllerTests { @Autowired private MockMvc mvc; @Test public void list() throws Exception { mvc.perform(MockMvcRequestBuilders.get("/restaurants")) .andExpect(status().isOk()) .andExpect(content().string( StringContains.containsString("\"name\":\"B.. 인텔리제이 단축키 shift +_ ctrl + spacebar = import 가능한 모든 클래스 보기 alr + enter = 수정가능한 행위 보기 개발할때 가장 고민해야하는것 사용자중심의 개발고민!! 뉴욕시에서 음주사고를 줄일 수 있던 이유 - > 우버 가 나오면서 줄었다. 사람은 강제적으로 변하지 않는다.사용자 친화적인 플랫폼을 내밀어야한다. -> 빅데이터를 사용하는 사람들에게 어떻게 하면 사용자 친화적인 것들을 만들수 있는지 배워야한다. 약을 누구에게 추천받았는가? 예전에는 의사들이지만, 이제는 다양한 경로로 추천받아서 산다. 그래서 이제는 작은 기업들이 치고빠지고를 굉장히 잘한다. 예를들어 제이숩, Dr.forhair 같은 회사.. 내가 무시할것이 아니다. 파페치라는 쇼핑회사가 오프화이트를 인수했다. 사용자 경험이 많은 회사가 명품기업을 인수 할 수있다. 목적이 올바른지 주변얘기를 많이 들어야한다. 이전 1 ··· 13 14 15 16 17 18 19 ··· 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