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pring

웹서버 구조와 스프링프레임워크의 장점

일반적으로,

  여러 유저가 동시에 서버에 접속을하면  유저마다스레드가 생기고, 각 스레드마다 자원에 해당하는 객체의 인스턴스를

  생성해서 사용하게 된다. 이 객체들은 Heap 메모리에 저장되게 된다.

 

스프링 프레임워크에서는,

  자원에 해당하는 객체를 bean으로 등록하여  스프링프레임워크가 그 객체를 new 로 인스턴스화 하지 않고 사용할수 있도록 공용으로 사용할수 있게 도와주고,  즉, 서버의 Heap공간에는 초기셋팅시 단 한번만 등록이 된다.

  이런 구조를 SingleTon이라고 한다.

 

 

  초기셋팅시 component-scan을 통해 Bean으로 자동지정될수 있도록 하는 어노테이션들

  ` @Controller

  ` @Service

  ` @Repository  //DB와 접근을 하는 DAO ( mybatis 시 mapper에서 참조함 )

  ` @

 

 위의 것들로 등록된 bean들을 호출,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해주는것이 @Autowired이다. ( IO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