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블릿 클래스 만들기
public class UserCreateServlet implements HttpServlet{
doGet
doPost
}
---------------------------------------------------------------------------------------
서블릿 클래스 - URl 연동해주기 어디서? Web.xml 에서
<servlet>
<servlet-name>ServletTest</servlet-name>
<servlet-class> folder1.UserCreateServlet</servlet-class>
</servlet>
<servlet-mapping>
<servlet-name>ServletTest</servlet-name>
<url-pattern> /User </url-pattern>
</servlet-mapping>
---------------------------------------------------------------------------------------
Controller 는 servlet클래스인데,
MVC 에서 사용되는것이다.
@Controller 와
@RequestMapping (value= " /home " , method=RequestMethod.GET) 을 통해 URL 과 연결시켜준다.
return 은 보통 String으로 받게되는데 , 이는 view로 보내주는것이다. String.jsp 이런식으로 보내지는것이다.
이설정은 servlet-context 에서 해주는데 , prefix, suffix 를 통해 앞뒤 링크를 붙여 연결시켜준다.
<bean id="viewResolver" class="org.springframework.web.servlet.view.InternalResourceViewResolver">
<property name="prefix" value="/WEB-INF/view/"/>
<property name="suffix" value=".jsp"/>
</bean>
여기서 한발자국 더나아가면
PSA 를 충족시키는
@Contorller
@GetMapping
@PostMapping
이런식으로 해줄수 있다. (이런 annotation 들은 아랫단에서 전부 위의 servlet 기반으로 작성되어있어서 자동으로 돌아가게 되는것이다. thanks to Spring <3 )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getParameter / @RequesetParam / @ModelAttribute (0) | 2020.01.29 |
---|---|
tiles3 셋팅 방법 미완성 (0) | 2020.01.22 |
AJAX (feat json (0) | 2020.01.21 |
ResponseEntity와 @ResponseBody의 차이점 (0) | 2020.01.21 |
MVC 초간단 정리 (0) | 2020.01.18 |